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주요국 혁신·도전형 R&D 추진 동향
머리말
차세대 첨단기술을 둘러싼 각국의 주도권 선점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현재 기술패권 경쟁은 기술을 선점하는 국가가 세계를 주도하는 승자독식 체제이기 때문이다. 주요국은 R&D 혁신을 가속화하고 기술패권의 승패를 좌우할 신속한 첨단기술 확보를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임무 중심의 혁신·도전형 R&D 비중을 확대하며 도전적 연구개발 체제를 구축하고 연구혁신 생태계를 확장해 가고 있다. 혁신·도전형 R&D란 세계 최고·최초를 지향하는, 실패 가능성은 높지만 성공할 경우 경제·사회적으로 혁신적 파급효과를 끌어내는 고위험·고보상 R&D를 의미한다. EU(유럽연합, European Union), 영국, 독일 등은 혁신 R&D의 산실이라 불리는 DARPA(미국국방고등연구계획국,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지원체제를 자국에 적용하며 R&D 혁신을 강화하고 있다. DARPA는 인터넷, GPS, 음성인식, 자율주행차 등 획기적 연구성과를 상용화하며 경제·사회적 혁신을 만들어 온 미국 국방 R&D 전문기관으로, 지난 50년간 미국 주요 산업정책 중 가시적 성과 창출에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된다. 임무 중심의 추진방식, 실패의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 유연하고 민첩한 조직운영과 독립성 등이 DARPA가 혁신 R&D 전문기관의 성공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이번 원고에선 주요국의 혁신·도전형 R&D 추진 동향을 각국 전문기관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국내 정책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CT Standard Weekly 제1228호(2025.03.10.)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297 | [한국화학연구원] 차세대 태양전지 대량생산 기술로 RE100 달성 앞당긴다.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30 |
296 | [한국자동차연구원] EU 이사회·의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간소화안 합의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30 |
295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 강화와 농업 부문 과제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30 |
294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새정부 산업/기술 뉴스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30 |
293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뷰티, 인(공지능)사이드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24 |
292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중국 내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 진행 상황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12 |
291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전략자원의 지정학: 주기율표 제국의 미래를 위한 미-중 경쟁과 첨단기술·경제안보에의 시사점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12 |
290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글로벌 주요 국가의 데이터 시장 현황 및 전략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12 |
289 | [한국전기연구원] 폐열로 전기 만드는 열전발전, 기업 체감도 높인다!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6-12 |
288 | [에너지경제연구원] NEA·IAEA의 우라늄 수급 장기 전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