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재료연구원] 재료연-KAIST,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극대화하는 촉매 합성 공정과 정밀 제어 기술 개발
버려지는 이산화탄소를 되살릴 수 있다면?
재료연-KAIST,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극대화하는 촉매 합성 공정과 정밀 제어 기술 개발
#1. 금속 산화물 지지체의 결함 구조를 정밀 제어하는 기술로 CO2 전환 효율 극대화
#2. 간단한 공정 방식을 적용해 대량 생산과 상용화 가능성 확보
#3. 이산화탄소 전환을 통해 화학연료, 청정에너지 산업 등 각종 산업에 활용 가능
□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와 탄소 배출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이산화탄소(CO2)를 화학 연료와 화합물 등의 자원으로 전환해서 활용하는 기술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 이하 재료연) 나노재료연구본부 박다희 박사 연구팀이 KAIST 화학과 박정영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CO2) 전환 효율을 크게 향상하는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
□ 기존의 이산화탄소(CO2) 전환 기술은 높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비해 효율은 낮아 상용화가 어렵다. 특히, 단원자 촉매(SACs)는 촉매 합성이 복잡하고, 금속 산화물 지지체(촉매 입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와 결합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촉매 성능이 떨어졌다.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단일 및 이중 단원자 촉매 기술을 개발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촉매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선보였다. 본 성과는 이중 단원자 촉매(DSACs)로 금속 간 전자 상호작용을 적극 활용해 기존보다 50% 이상 높은 전환율과 우수한 선택성(촉매가 원하는 생성물을 많이 생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능력)을 구현했다.
□ 본 기술은 금속 산화물 지지체 내 산소 공공(Oxygen Vacancy)과 결함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해 이산화탄소(CO2) 전환 반응의 효율과 선택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촉매 설계 기술이다. 산소 공공이 촉매 표면에 이산화탄소가 잘 흡착되도록 돕고, 단원자 및 이중 단원자는 수소(H2)가 흡착되도록 돕는다. 산소 공공과 단원자 및 이중 단원자가 함께 작용하면서 이산화탄소(CO2)가 수소(H2)와 만나 원하는 화합물로 쉽게 전환되는 것이다. 특히, 이중 단원자 촉매(DSACs)는 두 금속 원자 간의 전자 상호작용을 적극 활용해 반응 경로를 조절하고 효율을 극대화했다.
□ 연구팀은 에어로졸 분무 열분해법(Aerosol-Assisted Spray Pyrolysis)을 적용해 간단한 공정으로 촉매를 합성하고 대량 생산 가능성도 확보했다. 이는 복잡한 중간 과정 없이 액체 상태의 재료를 에어로졸(안개 같은 작은 입자)로 만든 후 뜨거운 챔버에 보내면 촉매가 완성되는 간단한 공정 방식이다. 해당 방식은 금속 산화물 지지체 내부에 금속 원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결함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처럼 금속 산화물 지지체의 결함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단일 및 이중 단원자 촉매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이중 단원자 촉매(DSACs)를 활용해 기존 단일 원자 촉매 사용량을 약 50% 줄이면서도 이산화탄소(CO2) 전환 효율을 기존 대비 약 두 배 이상 향상시키고, 99% 이상의 높은 선택성을 구현했다.
□ 본 기술은 화학 연료 합성, 수소 생산, 청정에너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촉매 합성법(에어로졸 분무 열분해법)이 간단하고 생산 효율도 높아서 상용화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 연구책임자인 박다희 선임연구원은 "본 기술은 이산화탄소(CO2) 전환 촉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동시에 간단한 공정을 통해 상용화를 가능하게 한 중요한 성과”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또한 KAIST 박정영 교수는 “본 연구는 새로운 종류의 단원자 촉매를 상대적으로 쉽게 합성할 수 있어 다양한 화학 반응에 쓰일 수 있고,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가장 시급한 연구 분야인 이산화탄소 분해/활용 촉매개발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라고 언급했다.
□ 본 연구는 한국재료연구원의 주요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촉매 및 에너지 분야에서 권위 있는 저널인 어플라이드 카탈러시스 비: 인바이런멘탈 앤 에너지(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and Energy(JCR 상위 1%, IF 20.3))에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and Energy) DOI 주소: https://doi.org/10.1016/j.apcatb.2024.124987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215 | [대한조선학회] 해상 도시 구조모듈 개념설계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4 | [한국화학연구원] 소재 합성에 필요한 재료물질? 인공지능이 알려준다.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3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해외-시장) 유럽연합(EU) 농업부 ‘EU 농업 전망 2024-2035’ 보고서 발표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트럼프 2기출범과 산업기술R&D 방향성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1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년 노벨상이 조명한 AI : 경제학상편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10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글로벌 돌봄로봇 산업 동향 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9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트럼프의 귀환, 한국이 직면한 과학기술혁신의 위기와 기회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글로벌 주요기관 전망 2025년 유망기술 트렌드 및 시사점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7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성통신 시장의 변화와 통신 표준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
206 | [한국연구재단] 전기전자 분야에서의 양자과학기술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