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성통신 시장의 변화와 통신 표준
맺음말
위성통신 시장은 AI, IoT, 자율차, AR·XR 등을 중심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3월, 3GPP Release-18 표준으로 5G-위성통신 네트워크 통합과 접속 등이 승인돼 광대역 데이터(Mbps) 속도 이동위성서비스(MMS) 제공 기반이 조성됐다.
위성통신과 5G 사업자들은 네트워크 통합과 접속을 통해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다. 최근 미국, 일본 LEO 위성통신 사업자들은 IoT, 자율차, 드론, 로봇과 같은 모빌리티, 에지컴퓨팅, 위성 기반 스마트폰, 5G특화망 등의 통신 서비스를 위해 5G 사업자와 파트너십을 확산하고 있다.
에스티스페이스(AST Space)는 2023년 4월, 5G 사업자인 에이티앤티(AT&T)의 LEO 위성 주파수 및 위성망 2개를 이용해 일본 라쿠텐 모바일(Rakuten Mobile) 스마트폰 이용자와의 14Mbps 속도 다운로드에 성공했다. 여기엔 재생 페이로드(Regenerative Payload) 접근 피더링크가 활용됐다. 이어 에스티스페이스는 2024년 9월엔 FCC로부터 LEO 5대를 발사할 수 있는 면허를 부여받았다. 게이트웨이, 피더링크 및 원격측정, 추적 및 제어 작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일본 5G 사업자인 라쿠텐 모바일은 2026년 LEO 5G-NTN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19].
우리 정부는 2024년 5월 LEO 위성통신의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결정했다. 같은해 6월 기준 국내 위성통신 가입자 수는 약 1만 명으로, 아직 시장이 형성돼 있지는 않다. 하지만, 3GPP 5G-NTN 표준화, 정부의 기술개발 결정, 스페이스X 사업 진출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서도 LEO 위성통신과 5G·6G 통신사업자 간 파트너십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경제 안보를 확보하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지속가능한 우주경제 생태계 조성·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CT Standard Weekly 제1221호(2025.01.20.)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215 | [대한조선학회] 해상 도시 구조모듈 개념설계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4 | [한국화학연구원] 소재 합성에 필요한 재료물질? 인공지능이 알려준다.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3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해외-시장) 유럽연합(EU) 농업부 ‘EU 농업 전망 2024-2035’ 보고서 발표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트럼프 2기출범과 산업기술R&D 방향성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1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년 노벨상이 조명한 AI : 경제학상편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10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글로벌 돌봄로봇 산업 동향 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9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트럼프의 귀환, 한국이 직면한 과학기술혁신의 위기와 기회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글로벌 주요기관 전망 2025년 유망기술 트렌드 및 시사점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열람중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성통신 시장의 변화와 통신 표준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
206 | [한국연구재단] 전기전자 분야에서의 양자과학기술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