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년 노벨상이 조명한 AI : 경제학상편
-
1회 연결
[THE AI Report 2024-12] 2024년 노벨상이 조명한 AI : 경제학상편
■ 정책적 시사점
○ (AI 정책의 문제점) 아제모을루의 연구는 빠른 기술 혁신 및 활용 확산, 사회적 문제에 대한 미온적 태도, 자국 중심주의에 기반한 공동의 발전 기반 약화 등의 특징을 갖는 오늘날의 AI 정책의 근본적 한계를 지적
- 정책 방향성 부재 : "우리는 생산성을 높이고 광범위한 번영을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진 '올바른' 유형의 AI에 투자하고 있는가?"라는 중요한 질문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 환경에서 비롯됨21)
- 정부 역할 축소 : 미국의 맥락에서 정부는 시장 실패를 바로잡기 위해 사회적으로 유익한 연구를 지원해 왔으나, 최근 들어 이와 같은 연구 지원에 더 인색해지고 기술 변화의 방향을 주도하려는 의지도 소극적으로 변한 상황
- 민간 주도 의제 설정 : 첨단 기술 분야의 의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 민간 부문의 역할이 점점 더 커지면서 즉각적인 수익성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사회적 가치가 높은 기술 투자를 저해
- 시장 중심 패러다임 : 경제학계의 시장 효율성에 대한 과도한 신뢰로 인해 AI 발전의 외부 효과나 대안적 발전 경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
○ (아제모을루 연구의 한계) AI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하고 실증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 과제를 도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를 보임
- 방법론적 한계 : 경제학적 모델링에 기반하여 AI의 복잡한 사회적 영향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어, 사회학, 윤리학, 정치학 등 다학제적 연구를 통한 보완이 필요
- 정책적 실행력 : 이론적·실증적 분석을 통해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각국의 제도적 맥락과 경제적· 정치적 현실을 고려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이행 방안 미흡
- 관점의 제한성 : AI의 부정적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사회적 선을 위한 AI 활용 등 긍정적 과제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노동 시장 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AI의 긍정적 활용 방안 도출 필요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THE AI Report 2024-12] (발행일 2025.1.23.)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215 | [대한조선학회] 해상 도시 구조모듈 개념설계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4 | [한국화학연구원] 소재 합성에 필요한 재료물질? 인공지능이 알려준다.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3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해외-시장) 유럽연합(EU) 농업부 ‘EU 농업 전망 2024-2035’ 보고서 발표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21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트럼프 2기출범과 산업기술R&D 방향성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5 |
열람중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년 노벨상이 조명한 AI : 경제학상편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10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글로벌 돌봄로봇 산업 동향 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9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트럼프의 귀환, 한국이 직면한 과학기술혁신의 위기와 기회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글로벌 주요기관 전망 2025년 유망기술 트렌드 및 시사점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7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성통신 시장의 변화와 통신 표준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
206 | [한국연구재단] 전기전자 분야에서의 양자과학기술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