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탄소중립 플랫폼 기술 동향분석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09:56 조회수: 59회

서론


전 세계적으로 폭염, 산불, 호우 등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사례는 최근에 이르러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올해 미국, 일본, 한국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근본 원인 역시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1]. 이러한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탄소중립 활동이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중 하나인 디지털 탄소중립(Digital Carbon Neutrality)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트윈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탄소배출을 관리, 최적화 및 최소화하는 전략적 접근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탄소배출을 추적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효율적으로 줄여나가는 과정을 포함하며, 단순히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기술이 에너지 소비의 효율화, 탄소배출량의 실시간 측정 및 관리, 그리고 생산과 소비 전반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이바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탄소중립을 위해 디지털 기술을 온실가스 배출을 추적하고 감소시키는 도구로 사용한다고 정의하고, 스마트그리드,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같은 디지털 기술들은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탄소배출을 줄일 기회를 제공한다고 보고 있다[2]. IEA는 디지털 기술이 에너지 시스템과 인프라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그 디지털 기술이 에너지 생산, 소비, 저장 및 배분 등 모든 단계에서 탄소 배출 감소와 에너지 효율 향상을 지원한다고 보고 있다[3]. 그리고 한국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디지털전환(DX)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고, 탄소중립 이행 기반(탄소배출량 MRV-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등)을 조성하여 탄소중립을 촉진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4].

결국, IT 관점에서 재해석하면 디지털 탄소중립은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oT, AI, 빅데이터, 그리고 디지털트윈 등 주요 IT 기술을 기반으로 탄소배출량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등 탄소중립 지원 인프라를 통해 지속적인 탈탄소화 활동을 촉진하고자 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탄소중립에 대해 국내외 추진 동향을 살펴본 후, 디지털 탄소중립 플랫폼에 적용하는 중심 디지털 기술을 기준으로 플랫폼의 개념 및 사례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디지털 탄소중립 플랫폼 관련 표준화, 인증 및 특허 활동을 들여다보고, 한국이 당면한 현재 상황과 고려사항 등에 대한 언급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 DOI: 10.22648/ETRI.2025.J.400409


출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 디지털 탄소중립 플랫폼 기술 동향분석(2025.08.01)

(저자 : 김영화, 이형옥, 강현서, 이병탁, 이기붕, 고석갑)


※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31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유리 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소재 및 에너지 전환 기술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11 [한국자동차연구원] EV-배터리 등 주요 이슈브리핑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10 [한국재료연구원] 재료硏, 자체 개발 연료전지 추진 무인기 공중 실증 비행 성공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열람중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탄소중립 플랫폼 기술 동향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동화 속 앨리스가 되어 단위와 양자 기술 체험한다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07 [한국기계연구원] 미래형 스마트 농업 연구동향과 시사점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0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5년 IMD 세계경쟁력 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14
30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제 물류시장 동향(아세안·미주·중남미·중동)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14
304 [한국연구재단] 일본의 첫 AI 법률로 본 향후 정책 방향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14
30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모바일헬스를 활용한 비대면 진료와 의료개인 정보 이슈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