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AI 기술의 마케팅 활용 사례와 공공부문 적용 방향
-
1회 연결
[THE AI Report 2024-11] AI 기술의 마케팅 활용 사례와 공공부문 적용 방향
□ AI 기술의 공공부문 적용 방향
○ 맞춤형 정보 전달
- AI 기술은 디지털 플랫폼 간 경계를 허물어 통합된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구현하며 신문·TV·라디오· 소셜 미디어 등 이질적 매체의 통합으로 콘텐츠 큐레이션과 멀티채널 캠페인 관리가 가능해짐
- 아마존의 고객 데이터 기반 실시간 추천 알고리즘처럼 공공부문도 주민등록·건강검진·세금 신고 등 공공서비스 이용 주기를 파악하여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공공서비스 만족도 및 신뢰도 향상
- 빅데이터와 기계학습 기반 알고리즘으로 시민 개개인의 관심사와 필요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며 세대별· 지역별·상황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의사소통을 실현하여 일률적 메시지 전달 방식에서 벗어남
○ 실시간 여론 분석 및 위기 대응
- AI 기반 분석 모델로 온라인 댓글, 뉴스 콘텐츠, 소셜 네트워크 자료를 통해 정책 관련 여론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상황에 따라 메시지 재구성 및 추가 정책 홍보를 전개할 수 있음
- 국민 의견을 실시간으로 수집·분류하고 정책 반영 여부를 추적하여 실질적 '참여형 소통 환경'을 구현하며 AI가 시민과 정부 간 '공감의 매개자' 역할을 수행
- 구글, 페이스북 등 주요 디지털 플랫폼처럼 공공기관도 AI 기반 맥락 분석을 통해 시민이 주로 이용하는 디지털 채널을 선별하고 관심사나 지역 이슈에 부합하는 타이밍에 홍보 메시지를 송출하여 정책 인지도와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음
○ 다국어·다문화 서비스 제공
- AI 기반 번역 기술, 음성 인식 알고리즘, 콘텐츠 맥락 분석 기법을 통해 다양한 언어권과 문화권에 맞는 공공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에 대한 이해도와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음
- 세계화와 이주민 증가로 인한 문화적·언어적 다양성을 공공 커뮤니케이션에 반영하여 기존 소외 계층의 정책 접근성을 높이고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음
○ 참여 확대와 상호작용적 거버넌스
- AI 기술로 온라인 토론 포럼 분석, 시민 제안 플랫폼, 가상현실 기반 정책 체험장 등 다양한 시민 참여 모델을 구현 가능
- 사회적 담론과 시민 의견을 분석하여 정책 방향 수정 및 신규 의제 발굴에 활용, 쌍방향 소통을 실현
○ 데이터 거버넌스와 행정 효율화
- AI 분석 도구로 복잡한 사회ㆍ경제적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해석을 통해 근거 중심의 정교한 정책 수립이 가능함
- AI 기술을 통해 자동화된 민원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시스템 보완 등 공공 행정의 근본적인 프로세스를 재설계함으로써 행정 효율의 향상이 가능함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THE AI Report 2024-11] (발행일 2024.12.31.)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211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년 노벨상이 조명한 AI : 경제학상편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10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글로벌 돌봄로봇 산업 동향 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9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트럼프의 귀환, 한국이 직면한 과학기술혁신의 위기와 기회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글로벌 주요기관 전망 2025년 유망기술 트렌드 및 시사점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4 |
207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성통신 시장의 변화와 통신 표준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
206 | [한국연구재단] 전기전자 분야에서의 양자과학기술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
205 | [한국재료연구원] 재료연-KAIST,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극대화하는 촉매 합성 공정과 정밀 제어 기술 개발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2-03 |
204 | [현대경제연구원] 내수·수출의 경제 성장 견인력 동반 약화 우려 - 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2024년 4분기)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1-24 |
203 | [한국과학창의재단] 챗GPT 시대,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필요성과 역할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1-23 |
202 | [한국개발연구원] 친환경차 보급정책 개선 방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