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중국 바이오제약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 전략
※ 세부 내용은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 주요 내용
❍ 중국은 기초 R&D부터 바이오 산업까지 걸친 광범위한 영역에서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지원 하에 바이오제약의 글로벌 연구 중심지로 급부상 함
❍ 중국 바이오제약 기업의 임상시험 및 기술이전(건수, 금액, 기술 분포, 거래 대상별 단계 등), 특허 등의 현황을 데이터 기반 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중국 기술에 대한 높아진 신뢰도와 고품질의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이는 기존의 단순 기술 모방이나 규모의 경제로 인한 성과가 아니라, 장기간의 전략적 투자와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을 통해 확보된 결과라는 점에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큼
❍ AI 신약개발 분야 역시 AI 응용 분야의 확대로 인해 의료 전용 AI 모델, SW 신약개발 플랫폼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임상적 가치가 높은 솔루션이 다각화되는 추세
❍ 중국 정부의 R&D 투자 금액 확대, 우수 인재 유치, 규제 대폭 완화, 혁신 의약품에 대한 의료보험 정책 등 정부 정책 뿐 아니라, 강력한 제약 내수시장과 CDMO/CRO 역량으로 인한 생산 협력 가능, 임상시험 여건 등도 주요하게 작용하여 중국 바이오제약 산업을 견인 중
□ 결론 및 시사점
❍ 바이오 산업을 국가 전략으로 집중 육성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 사례를 참고하여 바이오 혁신 정책 수립 시 국내 여건에 맞게 적용할 필요가 있음
❍ 한정된 R&D 재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기술 주도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혁신 시장 관점의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근본적 체질 개선도 필요함
❍ 또한 대규모·장기적 자본 투자가 담보되어야 하는 바이오제약 산업의 특성상, 자본조달 방식의 다각화를 위해 최근 중국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뉴코(NewCo) 모델의 국내 시장 적용을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임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통계브리프 2025-199호(2025.10.15, KISTEP 바이오혁신전략팀 윤희정 팀장)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 327 | [현대경제연구원]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경제성장률 2025년 1.0%에서 2026년 1.9%로 반등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6 | [한국원자력연구원] 국제 원자력 발전 현황 및 정책 동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5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국 기계공업 디지털화 시행방안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4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日 JARA, 로봇산업 비전 2050 : 인간·사회·환경과 공존하는 로봇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3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R&D 전주기 지원 강화를 위한 조세지출 제도 개선 방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2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탄소중립을 넘어 신성장동력으로: 기후기술 신산업 육성을 위한 통합적 정책조합(policy mix)을 모색해야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1 | [에너지경제연구원] IAEA 전 세계 원전 2050년 전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열람중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중국 바이오제약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 전략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19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제 물류시장 동향(아세안·유럽·아프리카)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18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제2차 아태지역 WRC-27 준비기구 국제회의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