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R&D 전주기 지원 강화를 위한 조세지출 제도 개선 방향
"R&D 수행 단계에 혜택이 집중되어 있는 조세지출 제조를 기획, 기술이전, 투자회수 등 R&D 전주기 영역에 대해 균형 있는 지원 체계로의 전환 필요"
● 「2025년 조세지출예산서」 기준 280개 조세지출 제도를 대상으로 R&D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제도를 선별
- R&D와 관련된 조세지출을 선별하는 데 다음과 같은 기준을 수립 및 적용 <링크 참고>
- 「조세지출예산서」에는 이미 18개 제도가 연구개발로 분류되어 있으나, 연구개발과 관련성이 낮은 제도들이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분류 기준을 수립하여 분석에 활용
● 280개 제도 중 28개가 R&D 관련 조세지출로 나타남
- 앞서 제시한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28개 R&D 관련 조세지출 제도를 선별
● R&D 관련 조세지출 제도를 지원유형과 지원방식별로 분류한 결과 대부분은 R&D 수행 단계에서 발생한 비용을 세액공제하는 방식으로 운영
- 제도별 세부 내용을 기반으로 R&D 조세지출 제도를 지원유형과 지원방식별로 분류
- 분류 결과, R&D 수행 단계에서 세액을 공제하는 방식이 약 5.4조원으로 전체 R&D 조세지출 중 약 92.9%를 차지
● 산업, 기업 규모 등의 특성에 따라 조세지출 수혜 가능성에 차이가 발생
- 그림 2에서와 같이 기업 설립 이후 최초로 흑자가 발생하는 기간이 산업별로 큰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조세지출 수혜 가능성이 달라짐
- 또한 조세지출 수혜 여부 분석 결과, 그림 3처럼 중견·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조세지출 수혜 가능성이 높게 나타남
▲시사점
- 기술이전 및 투자회수(EXIT) 촉진을 위해 세액공제율을 인상
- R&D 기획 단계에 대한 지원 강화를 위해 공제 대상 R&D 범위 확대 및 준비금 손금산입 재시행
- 조세지출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이월 및 유예 기간의 조정, 환급, 최저한세율 인하 등을 추진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Brief 제53호(2025.09.25.)
(저자 : 김학효 부연구위원)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 327 | [현대경제연구원]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경제성장률 2025년 1.0%에서 2026년 1.9%로 반등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6 | [한국원자력연구원] 국제 원자력 발전 현황 및 정책 동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5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국 기계공업 디지털화 시행방안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4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日 JARA, 로봇산업 비전 2050 : 인간·사회·환경과 공존하는 로봇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열람중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R&D 전주기 지원 강화를 위한 조세지출 제도 개선 방향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2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탄소중립을 넘어 신성장동력으로: 기후기술 신산업 육성을 위한 통합적 정책조합(policy mix)을 모색해야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1 | [에너지경제연구원] IAEA 전 세계 원전 2050년 전망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20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중국 바이오제약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 전략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19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제 물류시장 동향(아세안·유럽·아프리카)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
| 318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제2차 아태지역 WRC-27 준비기구 국제회의 링크 있으면 표시 | 한국환경산업협회 | 2025-10-24 |